최근에는 직장인의 부업, 프리랜서 겸직, 임대 소득 등 이중 소득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직장 가입자로서 매달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말이나 이듬해에 추가 건강보험료를 고지받는 사례가 늘고 있어 많은 이들이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중 소득자가 건강보험료를 왜 추가 납부하게 되는지, 실제 정산 기준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는지를 사례 중심으로 설명합니다.
1. 이중 소득자의 정의와 대표 사례
건강보험에서 말하는 '이중 소득자'는 직장가입자로 등록되어 있으면서도 추가로 소득이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이중 소득 사례
- 직장인 + 블로그 수익, 유튜브 광고 수익
- 직장인 + 강의료, 자문료, 원고료 등 프리랜서 수입
- 직장인 + 부동산 임대소득
- 직장인 + 금융소득 (이자, 배당 등)
이러한 소득은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되며,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직장가입자임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건강보험료가 부과됩니다.
2. 건강보험료 정산의 기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전년도 종합소득세 신고 자료를 국세청으로부터 받아 분석한 뒤, 해당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직장가입자에 대해 '소득월액보험료'를 별도로 부과합니다.
2025년 기준 부과 기준
- 직장가입자의 연간 종합소득이 3,400만 원 초과 시, 추가 건강보험료 부과
- 건강보험료 산정은 소득금액 × 부과율(2025년 기준 약 7.09%)
- 본인 부담금 기준으로 연 200만 원 이상 추가 부과되는 사례 다수
이러한 정산은 매년 11~12월에 '소득월액보험료 결정 통지서'로 고지되며, 고지 후 다음 달부터 1년간 분할 납부하게 됩니다.
3. 실제 사례로 보는 정산 부담
사례 1. 직장인 + 유튜브 수익
직장인 A씨는 월 400만 원의 급여 외에 유튜브 채널 운영으로 연 4,000만 원의 광고 수익을 올렸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를 성실히 했지만,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연간 280만 원의 추가 보험료 고지를 받았습니다.
사례 2. 직장인 + 부동산 임대소득
B씨는 본업 외에 소형 원룸 임대를 통해 연간 3,600만 원의 임대소득을 올렸습니다. 종합소득세는 냈지만, 건강보험료가 추가로 매월 25만 원씩, 1년간 300만 원 부과됐습니다.
두 사례 모두 3,400만 원 기준을 넘었기 때문에 직장가입자라도 지역보험료 형태로 추가 부과된 것입니다.
4. 이중 소득자의 보험료 절세 전략
1) 종합소득세 신고 시 소득 분산
소득이 배우자, 자녀, 부모와 공유 가능한 구조라면 수익 분산을 통해 각자의 소득을 낮출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명의를 공동명의로 하거나 프리랜서 계약을 가족 명의로 분산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2) 필요 경비 적극 반영
프리랜서, 콘텐츠 수익, 임대소득 모두 경비 처리를 통해 과세 소득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곧 건강보험료 부과 기준 소득도 낮춘다는 의미입니다.
3) 기타소득으로 신고하는 방법
일시적 수익은 '기타소득'으로 신고할 경우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단, 기타소득은 연 300만 원 이하이며, 지속적이지 않아야 하므로 정확한 기준 판단이 중요합니다.
4) 법인 설립으로 전환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개인사업에서 법인사업으로 전환하면 대표이사로 직장가입자 유지가 가능하며, 사업 수익은 법인에 귀속되어 개인 소득 기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5. 이중 소득자 주의사항
- 고지된 건강보험료는 소급 적용 불가, 부과 후 1년 분할 납부
- 정산 내용에 이의가 있을 경우 이의신청 가능 (공단에 소명 자료 제출)
- 무신고 또는 허위신고 시 가산금 부과 및 체납 불이익 발생
- 부당하게 높게 산정됐다고 느낄 경우 조정신청 가능
직장가입자라고 해서 건강보험료는 끝이라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본인의 추가 소득 발생 여부를 항상 관리하고, 합법적인 절세 전략을 미리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이중 소득자가 증가하는 만큼 건강보험료 정산 문제도 앞으로 더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종합소득세 신고와 건강보험료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세금만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부업이나 임대 수익이 있는 직장인이라면, 3,400만 원 기준을 기준으로 사전에 소득을 조절하거나 분산하고, 비용 처리를 철저히 하여 보험료 부담을 줄이는 전략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1577-1000)이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해 본인의 소득 구조에 맞는 최적의 절세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보험료 과소 산정 후 추징 통보 대응 방법 (2) | 2025.08.08 |
---|---|
사업자 건강보험료 절세 전략 완벽 가이드 (8) | 2025.08.06 |
건강보험 자격 정지와 복원 절차 상세 안내 (7) | 2025.08.05 |
건강보험 자격 정지와 복원 절차 상세 안내 (4) | 2025.08.05 |
배우자가 외벌이일 때 건강보험은 누구 이름으로 유지하는 게 유리할까? (7) | 2025.07.28 |